월드와이드웹과 다이너북: 2-(3)인터넷, 월드와이드웹, HTTP


월드와이드웹과 다이너북

1.여는 글. 2020. 5. 20. 

2.CERN의 꿈과 정보의 소통
   (1)부시 보고서와 유럽 내 과학연구의 통합. (2020. 5. 27.)
   (2)실험데이터의 수집과 컴퓨터의 사용. (2020. 6. 3.)
   (3)인터넷, 월드와이드웹, HTTP. (2020. 6. 10.)
   (4)월드와이드웹과 소통. (2020. 6. 17.)

3.앨런 케이의 다이너북
    (1)미멕스와 PARC. (2020. 6. 17.)
    (2)앨런 케이의 다이너북. (2020. 6.24.) 
    (3)미멕스의 꿈과 전지구적 정보의 연결. (2020. 7. 1.)

4.재매개화와 메타매체성. (2020. 7. 8.)

5.마무리 글. (2020. 7. 8.)


이 글에서는 과학기술과 새로운 문화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월드와이드웹과 랩톱 컴퓨터라는 과학기술적 성과물이 어떻게 역사적으로 전개되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러한 새로운 매체가 가져온 사회문화적 변화의 의미를 찾아봅니다. 이를 통해 소통의 연결점과 (하이퍼)텍스트 쓰기의 문제와 매체성 개념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과학칼럼은 매주 수요일 업로드됩니다.
김재영 (녹색아카데미)


CERN의 규모는 점점 더 커져가고 있었고 컴퓨터에 대한 의존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었기 때문에, 다양한 구동체계(O/S, platform) 위에서 작동하는 컴퓨터들 사이의 ‘소통’이 긴요한 문제가 되고 있었다.

CERN에서 양성자 가속기(PS)의 전산제어를 담당하고 있던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가 “정보경영 제안”(Information Management: A Proposal)이라는 제목의 짧은 제안서에서 WorldWideWeb이라는 새로운 네트워크 방식을 처음 제시한 것은 1989년이었다.

[그림 1] 탐 버너스-리. 1955~. 월드와이드웹 재단 출범 당시. (출처: wikipedia)

버너스-리는 영국 런던의 퀸스 칼리지에서 물리학을 전공했지만, 초창기 컴퓨터의 전문가이자 수학자였던 양친의 영향 아래 컴퓨터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1976년 물리학사로서 대학을 졸업한 뒤에 D.G. Nash Limited라는 이름의 신생회사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취직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디자인하는 일에 매달렸다.

버너스-리는 1980년에 소프트웨어 고문기사의 자격으로 CERN에 일시적으로 가게 되었는데, 거기에서 만일 컴퓨터들 속에 저장된 정보들이 모두 연결될 수 있다면, 그리고 그 연결된 망 속에 그 어떤 것도 연결될 수 있도록 내 컴퓨터 안의 공간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면 지구적 규모의 정보공간을 창출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을 했다(Berners-Lee & Fischetti 1999: 3-6).

 1965년 테드 넬슨(Theodor H. Nelson)은 ‘하이퍼텍스트’(HyperText)라는 이름의 새로운 정보형식을 제안했다(Nelson 1967; Woodhead 1991). 하이퍼텍스트는 하이퍼미디어의 하위개념이다. 하이퍼텍스트라는 말은 크게 두 가지 의미를 지닐 수 있다.

[그림 2] 테드 넬슨(1937~). 정보기술의 선구자로 철학자, 사회학자이다. 1963년 ‘하이퍼텍스트’, ‘하이퍼미디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출처: wikipedia)

하나는 “글이나 그림으로 된 자료의 총체가 쉽사리 종이 위에 재현될 수 없는 복잡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총체”라는 의미이다. 이것은 텍스트뿐 아니라 그래픽이나 말이나 비디오를 포함하는 다매체 문서라는 뜻이다. 다른 하나는 “제한되지 않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정보로서 사람이 읽을 수 있는 것”이란 뜻이다.

이 두 의미는 구분되지만 별개의 것은 아니다. 하이퍼미디어로서의 하이퍼텍스트는 읽을 수 있는 것(텍스트)과 볼 수 있는 것(그림 및 이미지)과 들을 수 있는 것(소리와 동영상)이 모두 통합된 것이며, 동시에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 사이에 막힘이 없는 연결(링크)이 있다는 것이 이러한 통합의 중요한 의미이기도 하다.

버너스-리가 주목한 것은 바로 이 두 번째 의미의 하이퍼텍스트였다. 버너스-리의 아이디어는 ARPANET에서 파생한 인터넷(Internet) 망을 이용하여 하이퍼텍스트를 자유롭게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는 방식을 찾아보자는 것이었다. 

버너스-리가 월드와이드웹의 개념을 제안할 무렵, 인터넷은 학계에서 점점 더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통신수단이었다. 인터넷은 널리 알려져 있는 것처럼 미국에서 ARPANET을 대학들 간의 통신수단으로 확장한 것이다.

흔히 ARPANET이 개발된 목적은 핵전쟁이 일어났을 때를 대비하여 새로운 개념의 통신방법을 마련하려는 것이었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이 독특한 분산통신망의 중요한 실제적인 그리고 더 중요한 목적은 연구자들이 거대한 컴퓨터를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하는 데 있었다. ARPANET이 개통된 것은 1970년이었지만, 이것은 미국 내의 몇몇 대학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수준에 지나지 않았다. 

[그림 3] 1974년 당시 미국내 ARPANET. (출처: wikipedia)

1981년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은 ARPANET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대학들 사이에 CSNET를 만들었고, 같은 해에 미국 뉴욕시립대(CUNY)와 예일대 사이에 BITNET이 처음 개통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컴퓨터 연결망이 인터넷으로 자리를 잡게 된 것은 1983년 미국에 ‘인터넷 활동위원회’(Internet Activity Board)가 설치되고, ARPANET이 TCP/IP로 전환되면서부터였다. 이것은 일종의 ‘대폭발’(Big Bang)이었다. 

ARPANET에서 처음 프로토콜로 등장한 것은 Telnet과 FTP(File Transfer Protocol)였다. 프로토콜이 없다면 수많은 컴퓨터 플랫폼 사이의 연결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따라서 가장 먼저 공동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인 RFC(Request for Comments) #1이 프로토콜에 대한 것이었음은 당연한 일이었다.

Telnet과 FTP는 워크스테이션의 터미널에 있는 사용자들이 상대방 호스트에 접속하여 서로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규약이었다. 그러나 컴퓨터들의 연결망이 더 복잡해짐에 따라 Telnet과 FTP를 넘어서는 프로토콜이 필요하게 되었고, 1973년부터 TCP(Transfer Control Protocol)가 마련되기 시작했다.

TCP는 송신자의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쪼개고 각각의 덩어리(패킷)에 송신자의 주소와 수신자의 주소를 할당하고, 송신자의 데이터가 수신자의 데이터로 제대로 전달되었는지를 확인한 뒤에 최종적으로 수신자의 컴퓨터에서 쪼개진 패킷들을 모아 원래의 데이터 전체를 복원하는 과정에 대한 표준화된 규약이다. 

하지만 가장 큰 연결망이었던 ARPANET은 TCP를 채택하지 않고 있었다. 애초에 ARPANET은 국제적인 통신을 위해 개발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이러한 일반적인 의미의 데이터 송수신 규약을 따를 의향은 없었다. 데이터 통신 규약에는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나 미국과 프랑스에서 주로 사용되던 X.25라든가 Xerox의 XNS 프로토콜 등이 있었다. 

유닉스에서 사용하고 있던 통신규약은 TCP가 아니라 TCP/IP였다. 이것은 TCP에 IP(Internet Protocol)를 덧붙인 것인데, IP는 실제 송신 컴퓨터나 수신 컴퓨터에서 어떤 규약을 사용하는가와 무관하게 이 둘을 연결하는 통로(Router), 즉 두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적용되는 데이터 송수신 규약이다. OSI, X.25, XNS 등과 달리 TCP/IP는 IBM-VM 메인프레임이나 VAX VMS 시스템에서도 적합하게 작동했다. 

TCP/IP가 표준적인 통신 규약으로 자리를 잡게 된 데에는 CERN의 역할이 컸다. 1976년 CERN에서 공식적으로 ARPANET에 연결될 수 있기를 요청했지만, 미국 통신부는 외국이 개입하면 문제가 대단히 복잡해진다는 이유로 이를 거절했다.

결국 CERN은 독자적인 연결망을 구축할 수밖에 없었다. CERN의 독자적 연결망인 CERNET이 개통된 것은 1978년이다. 1984년 CERN에서 TCP/IP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1984년의 일이지만, 이미 초기부터 가장 널리 사용된 프로토콜은 TCP/IP였다(Segal 1995).

1983년 ARPANET에서도 TCP/IP를 공식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TCP/IP는 명실 공히 표준이 되기 시작했다. 만일 1976년 ARPANET가 CERN과 직접 연결되었다면, TCP/IP 대신 다른 프로토콜이 표준이 되었을 것이다.

이런 배경 속에서 버너스-리는 자연스럽게 하이퍼텍스트의 통신을 위한 기본규약으로 TCP/IP를 근간으로 하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제안하게 되었다. 월드와이드웹은 인터넷을 통해 하이퍼텍스트를 교환할 수 있는 망으로서, 클라이언트-서버의 토대에서 작동한다(Reliahn et al. 1994).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를 통해 일련의 동작을 취하면, W3 클라이언트가 W3 서버에서 해당하는 대상을 검색한다. 

[그림 4] URI를 이용하여 검색 대상의 위치를 표시하고 HTTP 규약에 따라 표시된 인터넷 주소. (출처: wikipedia)

대상의 검색을 위해서는 대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일종의 주소를 일관되게 할당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버너스-리가 1993년에 제안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라는 ‘주소할당의 틀’(addressing scheme)을 사용한다.

월드와이드웹에서 접근할 수 있는 대상들은 ‘하이퍼링크’로 서로 연결된 마디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하이퍼링크의 마디들에 대한 아이디어는 URI를 통해 검색의 대상이 어디에 어떻게 존재하는지 알게 해 주고, 이를 HTTP라는 규약에 따라 송수신하자는 것이었다.

그러나 아이디어가 현실이 되기 위해서는 하이퍼텍스트를 가장 손쉽게 표현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필요했다. 검색의 대상인 하이퍼텍스트를 주고받기 위한 규약을 마련하고 이를 색인하더라도, 하이퍼텍스트를 가지고 어떻게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정보로 만들 것인가 하는 문제는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바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이다.

[그림 5] HTML 5 로고. 2011년. (출처: wikipedia)

요컨대 버너스-리의 아이디어가 현실 속에서 구현되기 위해서는 HTTP라는 통신규약과 URI라는 주소할당 방식과 HTML이라는 공동의 프로그래밍 언어가 중심적인 세 가지 기본요소로서 마련되어야 했다.

일리노이 대학의 NCSA(National Center for Supercomputing Applications)에서 HTTP와 URI와 HTML을 바탕으로 월드와이드웹의 하이퍼텍스트에 접근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인 Mosaic을 처음 발표한 것은 1993년 9월 16일의 일이었다.

… “2-(4)월드와이드웹과 소통”으로 계속됩니다.


참고문헌

  • 김재영 (2010). “CERN의 월드와이드웹과 앨런 케이의 다이너북: 최초의 랩톱컴퓨터와 메타매체와 소통”, 탈경계인문학. 3(2): 249-289. 
  • Berners-Lee, T. & Fischetti, M.I. (1999). Weaving the Web: The Original Design and Ultimate Destiny of the World Wide Web, Harper.
  • Nelson, T.H. (1967). “Getting it out of our system” in Schechter, G. ed. Information Retrieval: A Critical Review, Thomson Books, pp.191-210.

  • 이 글은 녹색아카데미 웹진을 위해 김재영(2010)을 편집한 것입니다.
  • 알림: 웹사이트 스킨 문제로 댓글쓰기가 안되고 있습니다. 댓글이나 의견 등은 녹색아카데미 페이스북 그룹트위터인스타그램 등을 이용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부모임 게시판에서는 댓글을 쓰실 수 있습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 녹색아카데미 

답글 남기기